[르포]청와대·삼성·쿠팡도 이 중소기업 자동문 쓴다
코아드관리자
view : 78
자동문 시공업체 코아드
스피드도어 등 자동문 全 품목 취급
주4일제 운영…IPO 추진
이대훈 코아드 대표가 23일 경기 화성시 코아드 본사에서 열린 '이노비즈 피알데이'에서 자사 제품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사진제공=코아드]
경기 화성시에 위치한 자동문 전문업체 코아드. 코아드는 일상에서 흔히 보이는 유리 자동문부터 주차장·물류창고·공장 자동문까지 거의 모든 자동문을 만드는 중소기업이다. 지난 23일 코아드 본사에서 만난 이대훈 대표는 "국내에 1000여개의 자동문 업체가 있지만 자동문 모델 전체를 취급하는 건 코아드가 유일하다"며 "어느 공간이든 최적화한 맞춤형 자동문을 주문 제작할 수 있는 이유"라고 소개했다.
2014년 9월 설립돼 올해로 업력 10년차인 코아드는 자동문 토털 솔루션을 취급한다. 제품은 스피드도어·오버헤드도어·차고자동문·셔터·유리자동문 등 크게 5가지로 나뉜다. 스피드도어는 코아드가 가장 먼저 선보인 주력제품이다. 산업현장에서 차량이나 사람 등이 출입할 때 출입문을 빠르게 여닫을 수 있다. 이 대표는 "쿠팡이 물류센터에 우리 스피드도어 제품을 설치하고 작업 환경이 크게 개선됐다"면서 "문을 빠르게 여닫아야 냉난방 시설 효율이 올라간다"고 전했다.
코아드는 삼성·LG·쿠팡·현대차 등 대기업을 비롯해 청와대·대법원·경찰청·교육청 등에도 제품을 납품했다. 청와대의 경우 박근혜 정부 당시 경호실에서 국가 소요사태에 대비해 코아드 제품을 주문제작했다. 이 밖에 집에 개인 차고를 두고 싶어하는 소비자나 자영업자 등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로도 제품을 공급중이다.
이 대표는 이날 이노비즈협회가 주관한 '이노비즈 피알데이' 행사에서 직접 자사 제품의 내구성과 기능성을 시연했다. 그가 자랑하는 건 '자동복구형 스피드도어'다. 군용 고무보트를 만들때 쓰이는 이중 직조물 프로텍트 패브릭으로 만든 자동문이다. 문 양쪽 하단에 세로로 지퍼를 달아 외부 충격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가능성을 차단했다. 이 대표는 자동문을 내린 뒤 발로 충격을 가해 지퍼가 열리며 충격을 흡수하고 파손을 막는 과정을 보여줬다. 이 대표는 "지게차 포크가 충돌해도 찢어지지 않고 지퍼가 열리면서 사고 위험을 막는다"면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많은 산업현장에서 우리 제품을 찾는다"고 말했다.
코아드가 시공한 스피드도어. [사진제공=코아드]
코아드의 오버헤드도어. [사진제공=코아드]
코아드는 대전·대구·전남 등 전국 8곳에서 지사를 운영중이다. 태국·일본·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 해외 5곳에서도 지사를 운영중이다. 지난해 매출 171억원 중 약 30%가 해외에서 나왔다. 올해는 매출 200억원이 목표다.
코아드는 2020년 자동문 전문 온라인 플랫폼 '자동문의 고수'를 구축했다. 자동문을 설치하고 싶은 수요자와 전국에 있는 자동문 설치 업체를 연결하는 서비스다. 보통 일반인이 자동문을 설치하려면 인테리어업체→창호업체→설치업체 등 여러 경로를 거치며 단가가 올라간다. 가격도 불투명하다. 코아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책임계약과 사후관리까지 보장한다. 현재까지 약 300여개의 중소 자동문 설치업체가 플랫폼에 등록됐다. 이 대표는 "업체도 아무 데나 받지 않고 우리가 시공능력 등을 꼼꼼히 점검한다"면서 "우리 플랫폼을 통하면 기존 대비 3분의 1 가격으로 자동문을 설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아드는 지난해부터 주4일제를 운영하고 있다. 건설업 기반 제조업체 중에서는 최초다. 자동문 수요가 가장 많은 11~2월에만 주5일제를 운영한다. 이 대표는 "주4일제를 일년간 운영한 결과 매출은 2배 늘었고 영업이익률은 20%가 넘는다"면서 "제조업도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경영 효율화를 이루면 주4일제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가족생계급여'제도도 운영중이다. 직원이 사망하면 그 배우자가 65세가 될때까지 사망 당시의 급여를 지급한다. '급여는 노동의 대가가 아닌 기여도의 대가'라는 이 대표의 경영철학이 담겼다.
코아드는 기업공개(IPO)도 추진중이다. 2020년 키움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절차를 밟고있다. 이 대표는 회사 설립 당시 임직원에게 지분 53%를 무상증여하고 자신은 47%만 보유했다. 이 대표는 "회사 운영을 잘못하면 임직원들이 언제든 나를 자를 수 있도록 지분을 배분했다"면서 "대신 잘 되면 IPO 등을 통해 다 같이 성과를 보상받자는 의미"라고 말했다.